newmoneycollector 님의 블로그

전체 글 103

인피니티 브랜드의 역사와 정체성 (닛산의 고급 전략, 북미 중심 전개)

이번엔 일본의 또다른 럭셔리 브랜드인 인피니티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인피니티는 닛산의 고급차 브랜드이죠. 탄생 배경과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브랜드의 탄생 – 일본 프리미엄 브랜드 경쟁의 서막1980년대 후반, 일본 경제는 고도성장을 바탕으로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었습니다. 당시 일본 자동차 브랜드들은 내구성과 연비를 앞세운 실용 중심 차량으로 미국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었지만, 고급차 시장은 여전히 유럽 브랜드의 독무대였습니다.이에 따라 일본 3대 제조사인 도요타, 혼다, 닛산은 각각 고급 브랜드를 개발하기로 하고,도요타는 렉서스(Lexus),혼다는 아큐라(Acura),닛산은 **인피니티(INFINITI)**를 1989년에 북미 시장에 동시에 런칭합니다.인피니티는 ..

자동차 2025.05.28

렉서스 SUV 라인업 비교 (UX, NX, RX, LX 전격 분석)

렉서스는 승용차 뿐 아니라 SUV 라인업도 여러개를 가지고 있습니다.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SUV 라인업을 보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UX – 콤팩트 SUV 시장을 겨냥한 도시형 프리미엄**UX(Urban Explorer)**는 렉서스 SUV 중 가장 작은 모델로, 젊은 세대와 도심 거주자를 타깃으로 한 프리미엄 소형 SUV입니다. UX는 단순한 엔트리 모델이 아닌, 렉서스의 감성과 기술을 담아낸 콤팩트 럭셔리 SUV로서 브랜드의 접근성을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크기: 전장 약 4,495mm / 휠베이스 2,640mm파워트레인: 2.0L 가솔린 NA 또는 하이브리드(UX250h)복합 연비: 하이브리드 기준 약 16~17km/L특징: 민첩한 조향 ..

자동차 2025.05.27

렉서스 하이브리드 기술의 진화 (ES300h, RX500h, LS500h 중심)

렉서스에는 하이브리드 기술이 있습니다.다른 어떤 브랜드보다 하이브리드 기술이 앞선다고 볼수 있는데요.어떤 기술이 발달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렉서스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핵심 – 전동화된 정숙함렉서스의 하이브리드 기술은 **도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HS)**을 기반으로 하되, 보다 고급스럽고 정제된 주행 감성과 정숙성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습니다. 초기 렉서스 하이브리드는 단순히 연비 향상을 위한 보조 동력원으로 전기 모터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모터 주도형 설계로 진화하여 모터 중심의 전동화 주행을 구현하고 있습니다.렉서스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시동 시 전기모터로만 구동, 정숙한 출발주행 중 모터와 엔진을 유기적으로 전환, 무단변속기(e-CVT)와 유사한 부드러운..

카테고리 없음 2025.05.26

렉서스 브랜드의 탄생과 철학 (도요타의 고급 전략, ‘YET’ 철학)

이번엔 일본 자동차중에 럭셔리 브랜드인 렉서스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렉서스는 도요타 자동차의 프리미엄 브랜드이죠. 렉서스가 만들어진 배경과 철학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렉서스의 탄생 – 도요타의 고급 전략은 왜 시작됐는가렉서스 브랜드는 1989년 북미 시장을 겨냥해 처음 출시되었습니다. 당시 일본 경제는 호황기였고, 도요타는 이미 전 세계에서 실용적이고 신뢰성 높은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고급차 시장에서는 독일의 벤츠, BMW, 아우디가 독주하고 있었고, 일본차는 ‘합리적이지만 고급스럽지 않은 차’라는 인식이 강했습니다.이에 도요타는 “최고의 자동차를 만들자”는 목표 아래, 1983년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시작합니다. 프로젝트 명칭은 **F1(Flagship O..

자동차 2025.05.25

혼다 전기차 도전기 (e:NS 시리즈, 프로로고, 소형 EV 전략)

혼다는 오랫동안 하이브리드 중심의 전동화 전략을 펼쳐왔지만, 전기차 시정의 확대에 발 맞춰순수 전기차 개발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이번엔 혼다의 전기차 도전기에 대해서, 전략, 핵심모델, 향후 전망을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혼다 전기차 전략의 변화 – 하이브리드에서 EV 중심으로혼다는 한때 전기차 전환 속도 면에서 도요타보다도 더 느리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이는 혼다의 단계적, 신중한 전략에 기반한 것입니다. 기존에는 하이브리드와 PHEV(플러그인 하이브리드)에 집중해 ‘시장 수용성’을 확보한 뒤 EV 시장에 진입하려는 흐름을 보였습니다.2020년 이후, 글로벌 전기차 트렌드가 본격화되자 혼다도 전략을 전면 수정했습니다.2021년 혼다는 2040년까지 순수 전기차 및 수소차만 판매하..

자동차 2025.05.16

혼다 하이브리드 전략과 대표 모델 비교 (인사이트, 어코드, CR-V)

이번엔 혼다 자동차의 대표 기술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MMD라는 독창적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통해서, 도심과 고속 모두에서 탁월한 효율성과 주행 성능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1.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전략 – i-MMD의 핵심혼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i-MMD(Intelligent Multi-Mode Drive)**라는 독자 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하이브리드 방식과는 구조적으로 다릅니다. 도요타의 병렬형 하이브리드와 달리 혼다는 직렬+병렬을 혼합한 멀티 모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효율성과 동력전달 효율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입니다.i-MMD 시스템은 세 가지 모드로 작동합니다:EV 드라이브 모드: 저속 또는 정체 상황에서는 모터 단독으로 구동하이브리드 드라이..

자동차 2025.05.15

혼다의 기술 철학과 역사

일본 자동차의 두번째 시리즈입니다. 도요타와 쌍벽을 이루는 혼다 자동차에 대해서 알아 보려합니다.혼다는 일본을 대표하는 종합 모빌리티 브랜드이면서,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자동차 / 오토바이 제조사중 하나입니다. 이번엔 혼다의 기술 철학과 핵심 기술, 그리고 브랜드의 역사를 집중적으로 보겠습니다. 1. 창립자 혼다 소이치로 – 기술에 인생을 건 사나이혼다의 철학은 창립자인 **혼다 소이치로(本田 宗一郎)**의 삶과 떼려야 뗄 수 없습니다. 그는 정규 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기계와 엔진에 대한 천부적인 감각을 가진 ‘현장형 기술자’였습니다. 1946년,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일본의 피폐한 상황 속에서 혼다기연공업소를 설립하고 자전거에 엔진을 붙인 이동수단을 만들면서 모빌리티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자동차 2025.05.14

도요타 전기차 vs 하이브리드 전략 비교

도요타는 하이브리드 외에 전기차도 개발하였습니다.아직 까지 정식으로 출시된 차량으 없지만, 꾸준히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곧 BZ 시리즈를 선보일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도요타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차량의 차이를 비교해보겠습니다. 1. 하이브리드 기술(HEV) 중심 전략 – 도요타의 오랜 강점도요타는 1997년 프리우스를 시작으로 세계 최초로 하이브리드 양산 체제를 구축한 브랜드입니다. 이후 20년 이상 하이브리드 기술을 개선하며, 전 세계 누적 2,000만 대 이상의 HEV 차량을 판매하는 등 압도적인 기술 리더십을 보였습니다.도요타 하이브리드 시스템(THS, Toyota Hybrid System)은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를 병렬적으로 결합한 방식으로, 엔진과 모터가 상황에 따라 역할을 나누거..

자동차 2025.05.13

도요타 하이브리드 기술의 진화 (프리우스, 하이랜더, 크라운)

도요타는 세계 최초로 하이브리드 차량을 상용화 한 브랜드 입니다.친환경차 시장을 선도해온 주역이라고 할수 있죠. 프리우스를 시작으로, 하이랜더, 크라운등 다양한 차종에 하이브리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번엔 프리우스, 하이랜더, 크라운의 개발 시점부터, 지금까지의 변천사를 알아 보겠습니다. 1. 프리우스 – 하이브리드 시대의 문을 연 혁신도요타가 1997년 출시한 **프리우스(Prius)**는 세계 최초의 양산형 하이브리드 차량입니다. 이 차량은 ‘21세기의 차’라는 슬로건 아래 개발되었으며, 가솔린 엔진과 전기 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병렬형 하이브리드 시스템(THS: Toyota Hybrid System)**을 최초로 탑재했습니다.초기 모델은 일본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출시되었지만, 2000년부..

자동차 2025.05.12

도요타의 글로벌 전략과 브랜드 철학 (Kaizen, 현지화, 생산방식)

이번엔 일본의 자동차 브랜드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일보 자동차의 선두 주자중 하나인 도요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키는 글로벌 기업입니다.개선, 카이젠 을 만들어낸 도요타 자동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지속적 개선의 철학, ‘카이젠(Kaizen)’이 만든 브랜드 신뢰도요타를 이해하려면 먼저 ‘카이젠(改善, Kaizen)’이라는 철학을 알아야 합니다. 카이젠은 일본어로 ‘지속적 개선’을 뜻하며, 도요타는 이를 단순한 슬로건이 아닌 기업 문화의 핵심으로 내세워왔습니다. 이 철학은 생산 공정, 품질 관리, 인력 운영 등 모든 영역에 적용되며, 현장 직원 누구나 문제를 인식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보텀업 방식의 혁신 시스템’입니다.이런 철학이 잘 드러나는 예로, 도요타의 조립라인에서는 ..

자동차 2025.05.11